이글을 읽고 깜짝 놀란 것은 강강술래의 강강(强姜)이 강한 강족이란 뜻이라는 것이다. 강강수월래(强姜水越來)라고도 하는 것은 즉 강한 강족이 물(바다)을 건너 넘어 온다는 뜻이라 한다. 아래 강강술래에 대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내용을 살펴 보자.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로 해남·완도·무안·진도 등 전라남도 해안일대에서 성행되어왔다.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의 놀이로 주로 추석날밤에 행하여지며 정월대보름날밤에 하기도 한다. 명칭은 ‘강강수월래’ 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로 표기하는 일도 있으나 ‘강강술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진양조로 느리게 노래를 부를 때는 ‘강강수월래’로 길게 발음된다. 기원에 대하여는 여러 설이 전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이순신(李舜臣)과 관련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해남 우수영에 진을 치고 있을 때, 적군에 비하여 아군의 수가 매우 적었다. 그래서 이순신은 마을 부녀자들을 모아 남자차림을 하게 하고, 옥매산(玉埋山) 허리를 빙빙 돌도록 했다.
바다에서 옥매산의 진영을 바라본 왜병은 이순신의 군사가 한없이 계속해서 행군하는 것으로 알고, 미리 겁을 먹고 달아났다고 한다.이런 일이 있은 뒤로 근처의 마을 부녀자들이 서로 손을 잡고 빙빙 돌면서 춤을 추던 관행이 강강술래로 정착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강강술래>의 기원은 이순신의 창안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이 있다.
한자로는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라고 표기하고,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는 해석은 바로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다.그러나 <강강술래>는 원시시대의 부족이 달밤에 축제를 벌여 노래하고 춤추던 유습(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고대로부터 우리 나라 사람들은 달의 운행원리에 맞추어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였고, 따라서 우리 나라 세시풍속에서 보름달이 차지하는 위치는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즉, 달이 가장 밝은 추석날이나 정월대보름날이면 고대인들은 축제를 벌여 춤과 노래를 즐겼고, 이것이 정형화되어 <강강술래>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전승된 <강강술래>를 이순신이 의병술(擬兵術)로 채택하여 승리를 거둠으로써 널리 보급되고 더욱 큰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자료: 강강술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용출처, 본블로그, 카테고리, 지구촌 역사 자료)
위의 자료에서 이순신 장군이 해남 우수영에서 진을 치고 있었다 한다. 그런데 아군의 수가 적어 여인들로 하여금 옥매산에 올라가 강강술래를 부르게 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해남이란 지명이 특이하다. 해남이란 지금의 전라남도 좌측끝에 있는 지명이지만, 바다 남쪽이란 뜻이다. 그렇다면 바다 남쪽에 있는 지역이 아닌가? 아래 KBS 유튜브자료에서, 해남여인들의 자부심을 이야기하며, 이순신장군은 울돌목에서 13척의 배로 왜선 133척을 무찌르는 명량대첩을 이루었다 한다.
위의 문무님의 자료에서, 문무님은, 강강술래 노래는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임진왜란 시 이순신장군이 왜군을 속이기 위해 아녀자들이 밤에 횃불을 들고 부르게 했는데, 한반도에 무슨 강족하고 관련이 있느냐며, 한반도의 역사를 부정하며 흥분하시는 듯 했다. 문무님은 기존의 중공사가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강족(姜族)은 강주(康州), 즉 중앙아시아 또는 중국 내륙지방인 서부에 있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았다. (아래 지도 참조). 두 지역 모두 바다하고는 거리가 멀다.
중공사가들이 주장하는 강주의 위치 (AD 200) (source : Wikipedia)
그리고 강족은 중국사에서 활동이 많았으므로, 현 중공 내륙땅에 있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아래 지도 참조).
기존 역사에서 주장하는 5호16국시대 강족의 위치 (분홍색) (자료 두산백과)
그러나 이러한 위치 모두, 강족이 바다를 건너 조선에 오는 그런 이야기는 불가능하다. 이는 현 반도사관도 안 맞고, 중공사가들의 주장도 안 맞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즉 강강술래의 의미는 필연적으로 강족과 임진왜란을 일으킨 왜의 위치와 직접 관련있는 것이다.
필자는 역사적 왜의 위치에 대해 현 일본이 왜가 아니라고 추정했다. (아래 자료 참조). 왜 지역은 100여개의 나라가 섬으로 되어 있다는 위지 동이전의 왜의 기록을 보면, 지중해에 산재해 있거나, 일부는 북아프리카에 있지 않나 추정한다.
그리고 강족, 강주의 위치에 대해서도 이베리아반도에 있지 않나 추정하였다. (아래 글 참조), 후백제의 견훤이 강주에 자기 아들을 도독으로 삼은 것하며, 신라와 고려도 강주를 점하고 있었고, 고려초 해양세력인 왕식렴이 강주에 진출한 것, 강왕이라 불리는 왕들, 강거선우 등의 이름, 그리고 양을 숭배하는 강족 등을 고려하여, 필자는 강거지역, 강족의 지역이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 한편, 북아프리카의 마우리족이 강족인가 하는 아래 필자의 글을 고려하면, 강강술래의 의미는 달리 해석할 수도 있다. 즉 강강수월래의 의미를 강한 강족이 바다를 건너 넘어 가니 왜가 조심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강강수월래는 강한 강족이 넘어오니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우리 강한 강족이 바다를 건너 가니, 왜는 조심하라는 경고의 의미의 노래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필자는 임진왜란이 지중해에서 있었다고 추정하는 것이다. 한반도도 아니고, 일부 재야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북아메리카도 아니라는 추정이다. 그러면서 아직 이 시기까지 연구에 이르지 못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스페인의 필리페 2세 왕이 관련된 키 인물이 아닌가 했다. 스페인이 학익진을 폈다고도 하고, 영국이 활과 대포를 쓰고, 스페인은 네델란드의 조총을 썼다고 하는 위키피디아 자료를 보면, 누가 왜이고, 누가 조선과 명나라군이었는지 아직 구분을 못하겠다.
스페인군이 오스만제국과 1591년 레반토해전을 해서 이겼다는 기록을 보면, 그리고 1596-1602년 사이 스페인은 페스트 전염병으로 60-70만명이 죽었다는 기록을 보면, 아무래도 스페인 구교세력이 임진왜란(1592-1597)의 왜이거나 왜와 합세한 세력으로 보인다.
이 당시 오스만제국을 조선의 일부라 했을 때, 강강수월래의 강족은 이베리아반도 또는 북아프리카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필자는, 강강수월래의 뜻이 낯설지 않다는 것이다.
술레이만 I세 시기의 오스만제국의 영토 (1580년)
상기 지도가 1580년경의 오스만제국의 영토지도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고려하면, 그리고 명나라를 고려하면, 약간의 수정이 필요한 것 같기도 하다. 당시 임진왜란 당시 선조는 의주에서 압록강을 건너 명나라로 피신하려 했다 한다. 그러나 조정 중신들의 반대로 포기했다 한다. 필자는 압록수를 프랑스 론강으로 추정했다. 따라서 당시 조선은 좀 더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태리정도는 포함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그러나 당시 교황이 구교세력을 지원하였으니, 이는 확인해 보아야 할 사항이다.
명나라는 프랑스지역 또는 프랑스/영국 지역으로 추정된다. 스페인의 필리페2세는 프랑스를 공격하려 했다고 위키피디아 자료는 말한다. 여하튼 , 이베리아반도는 스페인의 필리페 2세 왕이 점하고 있었으니, 강족의 강주지역이라면, 이베리아 반도가 된다. 그렇다면, 강강수월래의 강족은 이베리아반도에 있는 스페인군이 된다. 그러면, 강한 강족이 바다를 건너 온다는 강강수월래의 글귀는 이베리아반도의 스페인군이 아프리카 북부의 오스만제국 영토로 온다거나, 지중해를 건너 발칸반도의 오스만제국에게 공격해 온다는 말이 된다. 즉 임진왜란 당시, 강강수월래의 강족이 바다 건너 온다는 뜻이 의미가 있는 말이 된다.
특히 필자는 지난 글, "당항성은 모로코의 탕헤르인가?"하는 글에서 아프리카 북부 모레타니아 지역에 신라의 잔재가 있는 것을 언급했다. (아래 자료 참조). 신라어(Shilla language), 신라사람들(Shilla people)이란 말이 아직도 역사에 기록되어, 위키피디아 자료에 전한다.
또한 이베리아 반도 서남쪽 끝에 Cadiz란 곳이 있는데, 한니발 시기부터 역사적인 해군기지였다. 이곳에서 영국의 Francis Drake는 스페인함대를 격파해, 스페인의 무적함대의 항해를 1년을 막았다 한다. (아래 자료 참조) 이순신 장군의 울돌목, 명량해전 승리를 말하는 듯 하다.
"...and in April 1587 araidby the EnglishmanFrancis Drakeoccupied the harbor (=Cadiz) for three days, captured six ships, and destroyed 31 others (an event which became known in England as 'The Singeing of theKing of Spain's Beard'). The attack delayed the sailing of theSpanish Armadaby a year.[27] " (source : Cadiz, Wikipedia, 인용출처: 필자의 네이버 블로그(lainfos), 카테고리, 북아프리카)
우리는 위에서 강강술래가 이순신장군 시절 해남 우수영의 옥매산에서 있었다 했다. 해남이란 바다이남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남이 북아프리카 서쪽의 지역이 아닌가 한다. 비록 위의 오스만제국의 지도에서는 북아프카 서쪽이 지배하지 못한 지역으로 나타나지만, 이곳은 신라시대부터 한민족의 역사가 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스페인 서남단의 Cadiz가 울돌목이 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도, 강강술래, 강강수월래의 뜻인 강한 강족이 바다를 건너 온다는 뜻에 매우 부합하는 것이 된다.
Cadiz(=Gades)의 위치 지도 (자료 : 위키피디아)
Cadiz항의 위성 사진 (자료 : 위키피디아)
명량 수도의 위성 사진 (자료 : 나무위키)
위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면, 강강수월래의 의미는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 즉 강한 강족 (북아프리카에 있는)이 바다를 건너 당시 왜의 세력의 하나인 스페인군을 쳐부술 수 있으니, 왜의 세력에게 경고하는 의미의 노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키피디아 자료에서는 바스크지역주민과 샤르데냐섬의 주민과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족이 가장 유전적으로 접근해 있다고 한다. 바스크족과 샤르데냐섬이 우리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했을 때, 유목민의 성격을 가진 북아프리카의 마우리족이 강족, 남마한, 신라지역이 될 수 있으며, 왜의 성격은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능한 상황을 상상하지 못했던 문무님은 강강수월래의 의미에 대해 흥분하시기가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 강강수월래의 의미를 보고, 임진왜란이 지중해에서 일어났을 것이라는 생각이 더 굳어지게 된다.
아울러, 한반도 식민사관과 중공사학자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강강술래의 의미를 통해 다시 한번 입증하게 되는 셈이다.